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새아파트 사전 점검 준비물부터 체크 포인트까지, 입주 전 완벽 가이드

by 세이브모어 2025. 3. 31.

신축 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있다면 설렘 반, 걱정 반이실 텐데요. 처음 맞이하는 내 집이니만큼 기대도 크지만, 그만큼 준비도 철저해야 하죠. 특히 입주 전 사전 점검은 단순히 겉모습을 보는 게 아니라, 앞으로의 거주 만족도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과정입니다.

이 글에서는 사전 점검을 처음 준비하시는 분들도 어렵지 않게 따라 할 수 있도록, 필수 준비물부터 셀프 점검 요령, 하자 발견 시 대처 방법까지 순서대로 안내해 드릴게요.

 

아파트 사전점검 완벽 가이드
사전점겸 총정리

1. 왜 아파트 사전 점검이 중요할까요?

“새 아파트인데 뭐가 문제겠어?” 하고 방심했다간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.

단열 문제, 물 새는 현상, 바닥 마감 불량 등 눈에 잘 띄지 않는 하자가 은근 많기 때문이죠.

이런 하자들을 미리 발견하지 못하면, 입주 후 생활하면서 직접 겪고 고치느라 시간과 비용이 더 들 수 있습니다.

그러니 입주 전, 꼼꼼한 점검은 필수입니다!

지금 발견해서 고치면 무료지만, 나중에 알아채면 내 돈, 내 시간 들여야 해요.

 

2. 사전 점검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할 체크리스트

아무런 준비 없이 들어갔다간 “뭘 봐야 하지?” 하고 우왕좌왕하게 됩니다.

아래는 실제 점검 현장에서 꼭 필요한 도구들을 정리한 체크리스트예요:

  • 하자 체크리스트: 체크할 항목이 정리된 문서
  • 설계도면: 공간 배치나 치수 확인 시 필수
  • 네임펜 & 볼펜: 하자 표시와 메모 용도
  • 사전점검 스티커 / 포스트잇: 문제 부위 눈에 띄게 표시
  • 마스킹테이프 / 스카치테이프: 포스트잇 고정용
  • 줄자 (5m 이상): 방 사이즈 측정
  • 수평계: 바닥·벽의 기울기 체크
  • 고무망치: 타일 들뜸 확인 (두드려 보면 '통통' 소리가 납니다)
  • 라이터: 외풍 여부 확인 (불꽃 흔들림으로 체크)
  • 바가지나 생수병: 배수 상태 확인
  • 목장갑 / 라텍스 장갑: 먼지·이물질 접촉 방지
  • 마스크: 먼지 보호
  • 실내 슬리퍼: 바닥 오염 방지
  • 휴대폰 충전기 / 보조 배터리: 배터리 방전 방지
  • 물티슈 / 손 세정제: 간단한 청소나 손 닦을 때
  • 쓰레기봉투: 임시 쓰레기 정리
  • 두루마리 휴지: 화장실 비치 또는 청소 시
  • 의자 또는 미니 사다리: 높은 곳 점검용
  • 미니 빗자루: 구석 먼지 제거
  • 돗자리: 잠깐 쉬거나 아이들 앉힐 때
  • 간단한 간식 & 생수: 장시간 점검 시 에너지 보충
👉 Tip: 체크리스트는 인쇄해 가면 훨씬 편해요!

 

3. 셀프로 사전 점검할 때 이렇게 해보세요!

✅ 점검 동선 먼저 정하세요

혼란을 줄이기 위해 현관 →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도는 방식으로 점검하세요.

✅ 공간별 체크 포인트

문·창문: 잘 여닫히는지, 잠금 장치 이상은 없는지, 외풍은 없는지

바닥·벽지: 들뜸, 오염, 스크래치 등 확인

전기 시설: 스위치 작동 여부, 콘센트 위치 체크

수도 시설: 물의 수압과 배수 상태, 누수 여부

수납장: 문이 잘 열리는지, 충격 방지 장치 있는지

 

🏠 현관

  • 방화문이 제대로 닫히는지, 틈으로 찬바람이 들어오는지 확인
  • 도어스토퍼(반달형)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
  • 중문 유무 및 상태 확인 (레일이 휘었거나 실리콘 마감이 불량한 경우 많음)
  • 문을 열고 닫을 때 수직, 수평이 맞는지 체크

 

🚽 화장실

  • 바닥 배수 테스트 (검은 비닐/바가지에 물 받아 뿌리고 물 빠짐 확인)
  • 바닥 타일 들뜸 여부 (고무망치 등으로 두드려 이상 소리 확인)
  • 세면대 및 변기 고정 여부 (흔들림 확인)
  • 변기에서 냄새 올라오는지 확인 (고정 불량 시 발생 가능)
  • 거울 수납장 스무버 작동 여부 (충격 방지 장치 있는지)
  • 천장 점검구 열어서 내부 확인 (이물질, 누수 자국, 배관 상태 등)
  • 화장실 바닥과 바깥 바닥 간 단차가 60mm 이상인지 (법적 기준)

 

🍳 주방

  • 상부장, 하부장 문 열고 닫기 (스무스하게 작동하는지)
  • 상판 고정 여부 (들려서 소리 나면 하자)
  • 가구 내부 긁힘 여부 확인 (위, 아래 모두 확인 위해 사다리 필요)
  • 후드 작동 여부 및 한풍 테스트 (종이 테스트 활용)
  • 싱크대 하부 수납장 내부 누수 흔적이나 곰팡이 확인

 

🧼 거실

  • 바닥 타일 들뜸, 찍힘 여부 (망치로 두드리거나 눈으로 확인)
  • 창틀 흔들림 여부 및 충격 완화 장치 작동 여부
  • 벽타일 수평/수직, 깨짐 여부 확인
  • 월패드, 인터폰 기능 확인 (소리/영상 수신 확인)
  • 페인트 오염, 콘크리트 균열 등 외관 확인
  • 발코니 안전난간 흔들림 여부

 

🛏️ 작은방 / 안방

  •  문 수직 수평 여부 (레이저 레벨기 활용 또는 창문 스토퍼 위치 확인)
  • 도배 이음선 잘 보이는지 (특히 커튼박스 내부 도배 마감 확인)
  • 창문 여닫기, 잠금장치 정상 여부
  • 천장 몰딩 흔들림 여부

 

🔥 바닥 난방 전체

  • 열화상 카메라로 난방 배관 전체 확인 (끊김 없이 고르게 열전달되는지)
  • 특정 공간(예: 주방 구석, 화장실)에 난방이 누락된 부분 있는지 확인

 

🧪 라돈 측정 (전체 공간)

  • 라돈 간이 측정기로 기준치(148 Bq/m³) 초과 여부 확인
  • 기준치 초과 시, 자재 교체 요구 가능
  • 환기 후 수치 변화 확인해 보고 지속적 초과 시 정밀 측정 필요

 

4. 셀프 점검이 나을까, 전문가에게 맡길까?

구분  장점  단점
전문가 점검 장비와 경험으로 놓치기 쉬운 부분까지 점검 가능 비용이 발생하고, 업체 선정이 번거로울 수 있음
셀프 점검 비용 없이 직접 점검 가능, 점검 항목에 대해 배울 수 있음 전문성이 부족해 일부 하자 놓칠 수 있음

 

 

5. 하자를 발견했다면? 

  1. 사진·영상으로 기록
    • 촬영하면서 날짜와 위치, 문제 상황을 함께 기록해 두세요.
  2. 시공사 또는 담당자에게 공식 통보
    • 하자보수요청서를 문서로 작성해서 제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  3. 보수 후 재점검 필수
    • 보수가 끝난 뒤 직접 확인하고, 문제가 지속되면 재요청하세요.
  4. "원래 그런 거예요"라는 말에 휘둘리지 마세요
    • 의심되면 정확히 물어보고, 설명이 부족하거나 이해되지 않으면 입주자대표회의와 공유하세요.
  5. 하자보수보증기간 확인
    • 항목마다 보증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서류상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.

입주는 단순한 이사가 아니에요. 내 가족이 오랜 시간 머물게 될 ‘집’의 시작점이죠. 

그만큼 입주 전 사전 점검은 시간을 들여도 아깝지 않은 작업입니다.

준비물 철저히 챙기고

셀프 점검도 꼼꼼하게 진행하고

문제는 명확하게 기록해서 요청하는 습관!

이 몇 가지만 기억해도, 입주 후 큰 문제없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어요.

여러분의 새로운 시작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. 😊